"수출 둔화·경기 하방 압력"…내수 부진에 미국 관세 영향 [딥코노미]
-
기사 스크랩
-
공유
-
댓글
-
클린뷰
-
프린트
기재부 그린북 5월호
정부가 우리 경제 하방 압력이 여전하다고 판단했다. 미국의 관세 부과 등 대외 여건이 악화했고 내수 회복이 지연되면서다.
기획재정부는 16일 발간한 '최근 경제동향(그린북)' 5월호에서 "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·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, 취약부문 중심의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"고 평가했다.

3월 산업활동 주요 지표는 생산 증가와 소비·투자 감소가 동시에 나타났다.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 중심으로 전월보다 2.9% 증가해 전산업 생산을 끌어올렸다. 소매 판매는 0.3%,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는 각각 0.9%, 2.7% 줄었다. 4월 수출은 전년 동월보다 3.7% 늘며 3개월 연속 증가했지만, 일평균 수출액은 0.7% 감소했다.
소비자심리지수(CSI)와 기업경기실사지수(CBSI)는 각각 93.8, 87.9로 소폭 상승했으나, 기준선(100)을 밑돌며 여전히 위축된 흐름이다.
고용 지표는 다소 개선됐다. 4월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9만4천명 증가했으며, 실업률은 2.9%로 0.1%포인트 하락했다. 다만 질 좋은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·건설업 등 취업자가 크게 줄었다. 청년층의 고용률과 실업률도 모두 악화했다. 4월 소비자 물가는 농산물 하락 폭 확대와 석유류 하락 전환에도 축·수산물 상승 폭 확대의 영향으로 작년보다 2.1% 상승했다.
기재부는 글로벌 경제는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로 교역·성장 둔화 우려가 커지고 국제 금융시장 변동성도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.
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@hankyung.com
ADVERTISEMENT
ADVERTISEMENT